목록장동선 (5)
청자몽의 하루

2024년 4월 17일제목 : 마음의 구조신호 : 지우고 싶은 기억과 함께 하더라도...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아픔이나 너무 큰 슬픔은 잘 잊혀지지 않는다. 평생 떨쳐내려 하거나 모른척하며 살고 싶지만, 교수님 말씀처럼 독이 든 캡슐을 삼키고 때때로 꺼내는 느낌이다.지워버리고 싶은 기억과 함께 하더라도..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해준 영상 하나를, 빨래 개다가 라디오처럼 틀어놓았다. 알쓸신잡에서 뵈었던 교수님 강의였다. 웃으면서 듣다가 문득 하던 일을 멈추고 멍하니 끝까지 듣게 됐다. 그냥 공감이 가는 정도가 아니고, 남의 이야기 같지 않아서였다."마음의 구조신호에 귀기울여 주세요", 장동선- 세바시 강연 https://youtu.be/5n7ay2TbIDs?si=_J5_9OarC5xDbnhg자살 시도까지는..

(2)2024 상반기, 강동 명사초청 특강 : 2회차/ 불확실한 미래에서 나의 길을 찾는법 (장동선) , 세바시 강연 등에서 자주 뵈었던 장동선 박사님의 강연을 직접 들을 수 있었다. 본 강의 앞서 살아온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흥미로웠다. 어려움이 많았을텐데.. 웃으면서 이야기하셨지만, 고비고비 힘들었을 것 같다. 다른 곳에서 들을 수 없던 인생 이야기를 듣느라 시간 가는 줄도 몰랐다. 1시간반 예정되어 있었지만, 2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렸다. 하교를 가야해서 아쉽지만 먼저 일어나야했다. 뇌에 관한 이야기나 뇌과학 관련된 이야기 등등도 재밌었다. 택시타고 총알같이 날아온 다음이라 평소보다 곱절로 힘든 날이었지만, 그래도 뿌듯했다. 두번 더 남은 다음 강연도 기대가 된다. # 주변 이야기 : '명리단길 봄길..
알쓸신잡2, 8회 종로 중구편 : 분석 잘 하는 사람이 공감능력은 떨어지는 이유 책이 사람을 키운다고 하는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닌듯 하다. 책 많이 읽은 사람은 남을 이해하는 능력이 더 있을 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 경우를 많이 보게 됐다. 책도 많이 읽고 아는 것도 많은 사람이 잔정 없고 다른 사람을 헤아리지 못하고 함부로 하는거였다. 왜 저럴까? 박사님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그럴만하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반대로 공감 잘 하는 사람이 분석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보았는데, 공감력과 분석력을 모두 갖추기 힘들기 때문 아닐까? 그래도 정말 뛰어난 사람은 이 두가지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을듯.. 2018/08/19 - [[글]읽기/드라마/ TV] - 알쓸신잡3, 9월 21일 (금) 밤 9시 10분에 첫방송 ..
알쓸신잡2, 4회 해남&강진편(1) : 정약용의 편지/ 동양 도자기가 유럽에 미친 영향/ 대나무와 인간의 마디(계절과 절기) 의미 알쓸신잡2, 4회에서는 해남&강진에 갔다. 해남과 강진 역시 볼꺼리와 이야기꺼리가 많은 곳이라 그들의 수다 재밌었다. 영월과 진도&목포편은 암울했던 과거와 현실이 묘하게 반영되어 조금 우울한 편이었다면, 이번 편은 흥 돋는 여행기답게 밝고 경쾌했다. 과거 조선시대에 해남과 강진이 유배 일번지 였음에도 불구하고... # [장동선] 정약용 선생의 편지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아들들에게 용기를 불어넣기 위해 쓴 글)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은 한때의 재해를 당했다고 하여 청운의 뜻을 꺽어서는 안 된다. 사나이의 가슴 속에는 항상 가을매가 하늘을 치솟아 오를 기상을 품고 천지를 조그마하..
알쓸신잡2, 3회 목포편 : 내가 성장하는 순간(갑각류의 예)/ 어떤 사람을 정말 있는 그대로 이해해주는게 가능할까?/ 목포는 어떤 곳?/ 그들이 진도에 간 이유 3회에서는 목포와 진도를 갔다. 이번편에서도 역시 맛있는 먹거리와 좋은 볼거리를 구경했지만, 뭐니뭐니해도 하이라이트는 역시 그들의 수다였다. 먹거리.. 그것도 남도의 먹거리는 근사해 보였다. 게다가 저염식으로 식사를 제한 받고 있는 입장에선 뭐든 맛있게 보인다. 그래도 역시 잠깐 비춰지는 먹거리 보다는 생각하게 하는 이 분들의 담소가 마음에 더 남는다. # 내가 성장하는 순간 (갑각류의 예) [장동선] 인간의 마음은 새우처럼 자란다?!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님이 말한 내용인데, 꽤 인상적이었다. - 갑각류는 허물(껍질)을 벗으며 성장한다. - 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