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몽의 하루
2주전엔가 친하게 지내는 대학부 커플과 전도사님 사모님이 집에 놀러오셨을때 선물해주신 양초 담는 예쁜 통.. 어느날은 문득 보다가 이거 불끄고 찍어봐야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같은 대상인데 이렇게 다른 느낌이 든다. 빛에 따라 느낌이 틀려지는구나.
작년엔 덥고 매일 해가 쨍~한 동네 살다가, 올해 춥고 또 비도 많이 오는 이곳으로 이사하고선 알았다..해를 볼 수 있다는게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이 동네는 유난히 비가 자주 오고 또 구름 잔뜩 끼어 우울한 날씨가 며칠씩 계속되었다. 동네가 작고 또 아담하고 아기자기한 맛도 있고 우람한 나무들도 많고, 오래된 교회나 성당들 많고 등등 좋은 점도 많지만... 아무래도 날씨가 그러니까 사람이 좀 우울해질 수밖에 없었다. 날씨가 사람의 기분을 그렇게 좌우할줄은 정말 몰랐다. 그래서 그런지 좋은 날은 기분이 갑절, 세곱절은 행복해지고 먹지 않아도 배부르고 너무 좋은거다. ............. 가끔 살면서 너무 많이 받고 있어서 고마운 줄 모르고, 그러면서 무심히 살아버리는게 너무 많은거 같다. 그 중에서 ..
비가 며칠째 오고 있다. 봄비는 여름을 재촉하고, 가을비는 겨울을 재촉한다는데 늦여름에 내리는 비는 가을을 재촉하나보다. 비오면서 기온이 뚝..떨어졌다. 올해는 유난히 가을이 빨리온거 같다고 이 동네 좀 사신 분들이 그런다. 비오는데 귀뚜라미 소리도 들리구. 가만가만히 가을을 느끼다가 이젠 체감온도로 가을이 느껴진다.
나는 언제부터 글쓰기를 시작했을까? -> 한글 배우면서 시작했겠지. ㅎㅎㅎ..이건 아니구. 그러니까 여기서 말하는 "언제부터"란, "글쓰기"란 본격적으로 나의 글이라는걸 쓰기 시작한 시점을 말한다. 까마득히 멀리 고등학교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간이 얼마나 흘렀으면 고등학교 시절이 까마득한때가 되었을까, 가는 세월이여~) 수업시간에 어떤 선생님이 그러셨다. "글이라는게 쓰면 쓸수록 좋아지는데 10대때 글, 20대때 글, 그리고 30대때 글...등 시간에 따라서 글이 참 다르다. 제일 최고조에 달할때는 20대때일텐데 그래도 어쨌든 중요한건 글을 계속 써보는거겠지. 글쓰면서 나도 자라는 거니까" 듣고보니 옳다구나 싶었다. 그래서 아마 그 다음날로 당장 '일기'라는걸 쓰기 시작했다. "일기" 하면 아직도 초..
전에 기획팀장님이 아침에 출근하면 컴퓨터 딱 켜고 돌아다니는 사이트가 무엇무엇인지 웃으면서 얘기를 해주신 적이 있다. 먼저 email확인하고 , 그 다음에 아무개 사이트가서 뉴스보고, 어디가서 만화보고, 또 어디가서 뭐보고..하는 순서대로 매일 그러신다고 했다. 그렇담 나는, 보통 인터넷에 접속하면 어떤 순서대로 돌아댕길까? 그 얘기듣고 생각을 해봤다. 1. email 체크 2. 웹진 체크 3. 까페 등에 접속 댓글 관찰, 답글을 달거나 등등 4. 친구들 싸이나 블로그들 접속 새글 있나보고 5. 그리고..."다음"가서 만화보거나 뉴스같은거 보고 그런담에 특별히 돌아다닐만한 곳을 다니거나, 일을 하거나 하는 그런 식이다. "다음"은 왜 가는데? 라고 물으면 할말이 없다. 모르겠네. 그냥 습관적으로 "다음"..